본문 바로가기
머니로그

[적금만기] 해성신협 23개월 만기 유니온자유적립적금

by 피어나용 2025. 1. 4.
반응형

유니온자유적립적금 23개월 만기

우연찮게 다른 분 적금만기 포스팅을 보다가, 나도 기록해 볼까? 란 생각에 오늘 만기 되는 해성신협 유니온 자유 적립 적금 포스팅부터 해보기로 마음먹었다. 때마침 2023년에 개설한 포스팅도 있었기 때문에 기분 좋게 작성 중이다.

개설 포스팅을 쓸 이유가 있나? 싶었는데, 재작년 해성신협 개설한 포스팅을 보니 당시 생각을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경제공부해야겠단 것부터 카뱅 자유적금 역시 개설하리라 마음먹어 놓고 안 한 것까지 편하게 적은 생각들과 금리가 높을 시기라 그런지, 무려 5.41% 를 개설하면서 남는 돈을 넣어놓겠다고 적어놓았었다. 하지만 작년 말부터 5% 넘는 상품은 보이지 않아, 생기는 족족 해당 계좌에 넣는 것까지 재밌는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 신협 자유적립적금을 납입하며 새로운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자유적립적금은 말 그대로 가입기간 내에 자유롭게 입금할 수 있는 적금인데, 만기일 1달 전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없다는 점이다. 찾아보니, 그전 납입액 총합의 월평균 3배 이내로만 납입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때문에 만기 1달 전에 예금이 만기 되어 통째로 넣으려던 계획이 무산되었고, 해당 사항은 이전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자유적립적금 : 일정기간을 정하여 불특정금액을 수시로 납입하는 적립식 예금
  • 최소 납입금액 1원 이상

 
 

신협 유니온자유적립적금 이자

우선 가입한 상품은 해성신협의 유니온자유적립적금으로 23개월 만기, 적용금리는 5.41%이다. 정기적금이 아니기도 하고, 되는대로 입근해서 납입한 횟수는 수차례지만, 일수로만 계산해 보니 총 10회였고, 납입액은 모두 47,700,000원이었다. 이자는 15.4% 과세로 적용되어 1,308,932원으로 세금 201,550원을 제하고 만기 시 받은 금액은 총 48,807,382원이다. 

유니온 자유적립적금의 이자는 원을 단위로, 약정한 예치기간 또는 예금이 된 날부터 지급일 전날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조합이 정한 이율로 계산된다. 이자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다.

  • 만기이자 = 입금금액 × 약정이율 × 예치일 수 / 365일

개설조합명 해성신협
개설일 2023년 2월 4일
만기일 2025년 1월 4일
적용 금리 5.41%
원금 47,700,000원
이자(세후) 1,107,382원
과세구분 과세

금리가 높았을 때 가입했던 예·적금의 만기일이 다가오니 생각이 많아진다. 재작년 할 수 있는 만큼 모두 가입해 놨기에 한동안 신경 쓰지 않고 살았는데, 이제 마련된 묵돈을 어떻게 굴려야 되나 걱정이다. 올해 중순에 중간납입해야 하는 선납 이연할 계좌를 유지해야 할지, ISA계좌를 이용해 묵돈을 굴려야 할지 고민하며, 현재는 ETF 포트폴리오에 관한 책을 읽고 있다.

 

관련 포스팅 링크

2023.02.06 - [머니로그] - 고민 끝에 개설한 신협 23개월, 예금 5.6%과 자유적금 5.41%

 

고민 끝에 개설한 신협 23개월, 예금 5.6%과 자유적금 5.41%

차세대주택종합통장 해지 원래 이 돈이 아닌데, 우연찮게 비슷한 금액이 생겨 예금을 들었다. 처음 계획은 어릴 때 멋모르고 은행직원에게 들은 연금저축보험을 ^^ (당시, 매년 평균 이율을 산출

in-fullbloom.tistory.com

2025.01.03 - [머니로그] - 신협 유니온자유적립적금 한달 전 납입 가능 금액

 

신협 유니온자유적립적금 한달 전 납입 가능 금액

낮은 금리 저조한 상품 가입작년 하반기에 가입한 상품은 지난번 소개한 K뱅크 궁금한 적금이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해당 상품 가입기간은 한 달로 매우 짧아 벌써 만기 되었고, 가입기간과

in-fullbloom.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