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니로그

신협 선납이연 하는 법, 1-11 중간 납입 후기

by 피어나용 2024. 12. 17.
반응형

선납이연 하게 된 계기

찾아보면 많은 후기가 나옴에도, 해보는 것은 처음이라 다가오는 살 떨렸던 선납이연. 놓치면 안 된다는 생각에 보이는 달력마다 체크하며 중간납입일을 기다리다, 드디어 그날! 12월 11일이 와서 납부했다.

 

선납이연 종류는 1-6-5, 6-1-5, 1-11(12개월 기준)등 다양하게 있어, 개인의 자산 흐름이나 기호에 맞게 고르면 된다. 선납이연으로 최대의 이익을 남기기 위해서 대부분 6-1-5를 선택하시는 듯. 바로 마지막 납부일 전, 예적금담보대출을 이용해 납입하는 방식이다. 보다 현명한 방식으로 자산을 늘릴 수 있지만, 대출도, 선납이연도 처음인 나로서는 가진 돈으로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을 선택한 것이 1-11이었다.

 

중간납입일에 해당하는 11(12월 11일) 전으로 만기 되는 예·적금을 이용해 납부하기로 결심! 중간에 짧은 예금을 들면 더 이율이 날 수도 있었지만, 갖고 있는 CMA 통장을 활용했다. 1-11 방식은 상대적으로 11에 많은 금액이 필요하다보니, 보통 선택하지 않은 방식인 듯? 후기가 잘 보이지 않아 작성하게 되었다.

 

 

가입한 상품

선납이연을 하려고 가입한 상품은 바로 신목신협의 유니온정기적금이다. 가입당시 24개월 연 5.1%로 들 수 있었다. 납입액은 월 백만 원으로 당시 계산해 보았을 때, 여유를 조금 남겨놓고 들 수 있는 최대 금액이었다. 

  • 개설조합명 : 든솔신협
  • 개설일 : 2023-12-12
  • 만기일 : 2025-12-12
  • 1회당 납입액 : 1,000,000원
  • 금리 : 5.100%

사실 지금 유투브를 보면 IMF보다 어려운 경제위기가 다가온다는 자극적인 멘트의 영상들이 많아, 이 시기에 은행에 돈을 넣어도 되나? 특히 넣어둔 신협이 망하면 어떡하지? 고민했다. 어쨌든 달력에 적어놓은 중간납입일이 도래했고, 무지에서 오는 걱정이겠거니 하고 넣었다. 쩝;;

납입 구분 납입 날짜 납입 회차 납입 금액
가입일 2023-12-12 1 1,000,000
중간 2024-12-11 23 23,000,000
만기전날      
만기 2025-12-12 24 24,000,000

신협온뱅크 유니온정기적금 선납이연 과정

 

 

신협 불입액 납부 방법

선납이연을 위해 신협 불입액 납부방법은 굉장히 직관적으로 되어있어 간단하다. 먼저 납부할 상품에 들어가면 금액 밑에 [불입액납입]을 누른다. 다음 여태 납부하지 않은 납부회차들이 회색표시로 뜨면, 납부회차를 선택해 준다. 1-11을 선택했기 때문에 24개월 기준 1-23이고, 남은 2~24회 차를 모두 선택했다. [확인]을 누른 후, 납부회차가 제대로 선택됐는지 확인 후 [예]를 누르면 완료!

 

  1. 선납이연 납부할 상품의 [불입액납입]선택
  2. 납부하고 싶은 납부회차 선택
  3. 납부회차 확인하면 완료

 

신협 선납이연 불입액 납부방법

 

 

선납이연 이자 이득일까?

그렇다면 과연 선납이연을 하는 것이 이득일까? 란 생각이 들었고, 계산해 보았다. 우선 현재 신협 유니온 정기적금은 과세로 15.4%의 이자를 떼간다. 만기시 받을 총금액은 25,275,000원 세전 이자는 1,275,000원으로 세금을 제외하면 1,078,650원이다. 가입 후 2년 뒤에 받을 수 있는 금액이다.

 

 

가입할 당시에는 23,000,000원에 해당하는 묵돈이 없었고, 중간납입일 당시에 최고 예금 금리였던 3.8%로 계산해 보았다. 비교하는 것이 형평성에는 어긋날 수 있으나, 내가 가진 자산으로 최대한 굴려 남을 이익을 계산해 본 것이다. 선납이연 만기일까지 남은 기간은 1년, 미리 납부해놨던 금액까지 모두 합쳐 24,000,000원을 예금으로 가입한 것을 계산해보았다. 비과세로 설정해도 세전 이자는 912,000원으로 여태 묵돈이 계속 상품에 가입되어 있었던 것, 잠시 CMA에서 이자를 받았던 것을 대략 계산하여도 그냥 선납이연에 넣어놓는 것이 이득이란 결론에 도달했다.

 

아, 중간납입일 당시 선납이연 만기 시 받는 이자까지는 계산을 못했는데, 현재 17일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이자는 총금액임에도 14,580에 불과하다. 때문에 중간납입일 당시 시중에 금리를 살펴보고, 해지할지 계속 납입할지 계산해 보는 것도 좋은 선택일 듯하다. 모쪼록 25년까지 신협이 파산하는 일이 없기를 너무 걱정 중인 건가? 흑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