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니로그

연말 맞이 통장 쪼개기 ②

by 피어나용 2024. 11. 20.
반응형

현 자산 파악하기

어제 포스팅 작성 후, 이틀째 각성!ㅋㅋ 사실 어제 있는 통장 탈탈 털어 작성해 보았다. 엑셀에 적다 보니 애매한 부분을 발견했다. 바로 달러가 애매한 부분은 달러로 거래하는 외국 주식의 경우. 그리고 평가금액으로 적어야 하는지, 매입금액으로 적어야 하는지 고민.. 때문에 뱅크샐러드 총자산과 비교한 것을 기록해 두면 좋을 것 같단 생각도.

 

 

해외주식 1%
국내주식 3%
외화 4%
장기 적금 15%
연금 저축 3%
예·적금 53%
입출금 22%

 

연금저축은 증권사에서 ETF를 사서 운용중이고, 입출금통장에는 CMA 통장이 포함되어 있어 대거 장기적금으로 갈 예정이다. 올해 처음으로 선납이연을 해봤기 때문.. 12/11 날 마지막 입금 예정인데 떨린다!

 

 

통장 쪼개기 통장 설정

  1. 월급 수령 즉시 급여통장 (국민은행) 고정지출 납부
  2. 생활비통장 (케이뱅크 통장)에 변동지출 이체
  3. 고정지출, 생활비 이체 후 남은 돈 투자통장 (미래에셋 CMA 통장)에 이체
  4. 생활비 통장 지출 후 남은 돈 비상금 통장(페이머니 하나 통장)에 이체

 

 

어피티 질문지 채우기

  1. 나의 급여 통장은 어느 은행 통장인가요?
    국민은행 통장

  2. 월 소득은 총 얼마인가요?
    200만 원 초반 + 상여금

  3. 고정비가 모두 빠져나간 후에는 잔고가 얼마나 남나요? 
    현재 (관리비, 전기·가스요금, 주유비, 통신비, 구독서비스 요금)는 대략 15만 원이다.
    예적금 비용은 선납이연 중이라 달마다 고정된 지출만 적자면, 130만 원으로 총 145만 원인 셈.

    *고정비 : 매달 필수적인 지출 항목.
    ex) 월세금, 전세 대출 이자, 아파트 관리비, 주거비용(전기·수도·가스요금) 학자금대출 상환금, 각종 보험료, 예적금 납입액, 통신비, 구독서비스 요금, 학원비

  4. 나의 월 소득 중 20%는 얼마인가요? 또, 30%는 얼마인가요? (=생활비 정하기!)
    20% = 47만 원, 30% = 70만 원 (상여 제외 계산)으로 생활비 한도는 47~70만 원 이내로 사용할 것.ㅠㅠ

    *생활비 : 매달 사용하는 변동비 ※사용 금액이 매달 달라질 수 있는 항목, 한도를 정하면 좋다. 대체로 월 소득의 30~30% 이내로 설정.
    ex) 식비, 교통비, 쇼핑, 취미, 문화생활비, 자기 계발

  5. 애매한 그 이름, 문화생활비. 나의 ‘문화생활’은 무엇이고, 그곳에 얼마를 지출하나요?
    지난 몇 달간 문화생활은 영화, 수목원 정도. 영화는 쿠폰을 이용해 무료로 보고, 수목원 같은 지출은 1년에 2번 정도 방문했다. 따로 사비를 들여 공연을 보지 않아 지출을 가늠하기 어렵다.

  6. 내가 목표로 삼은 비상금 금액은 얼마인가요?
    비상금은 생활비의 약 3~6개월치가 정정하다고 뉴스레터에 나왔다. 어디서 보기에는 3개월치 월급이 적정하단 말이 있었는데, 어렵군.. 6개월치 생활비를 비상금 기준으로 삼는다면 약 420만 원, 500만 원으로 하겠다.

 

 

다음 포스팅 목표

  • 재정적 목표 정하기
  • 데이트 비용 %로 책정하기

 

 

이전 발행 글

2024.11.19 - [머니로그] - 연말 맞이 통장 쪼개기 ①

 

어피티 뉴스레터로 시작하는 통짱 쪼개기 ①

오늘자 어피티 뉴스레터를 보면서 뜨끔해서 작성해보고자 들어왔다. 때마침 오블완 챌린지도 진행 중이니, 멈추지 않고 기록해 보자는 마음..인데 할 수 있을까? 할 수 있다!! 우선 월급 등 금액

in-fullbloom.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