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니로그

2025년 1월 가계부 결산, 1인가구 소비내역

by 피어나용 2025. 2. 3.
반응형

1월 수입

  1. 12월 급여 + 1월 상여
  2. 부수입 1,427,024원

올해 처음으로 계산해 보는 부수입에는 만기 된 적금 2개, 지난번 포스팅하고 구입한 서울사랑상품권 인센티브, 체험단, 앱테크 등 계좌로 현금화되어 들어온 수입을 합해보았다. 가끔 하는 앱테크로 모으는 금액은 항상 궁금했었는데, 간단한 방법치고는 7천 원을 받아 꽤 쏠쏠한 듯! 이벤트성이 있어 계속 지속될지 지켜볼 계획이다.  

 

 

저축성 & 고정 지출

  1. 청년도약계좌 700,000원 입금
  2. 고정지출 189,610원

고정지출에서 지난달 관리비까지 두 번 납부했고, 인터넷 요금 납부 방법을 바꾸려고 자동이체 취소해서 2월에 납부했다. 흑흑.. 계속 밀리는 인생. 작년 고정지출비용 평균을 보아하니 15만 원 정도 나갔다. 1월 고정지출비용은 많이 나온 듯.

 

 

소비성 지출 (2,606,477원)

  • 식비 427,181원
  • 문화생활비 103,280원
  • 의료비 75,210원
  • 경조사회비 1,263,820원
  • 상품권 285,000원

소비성 지출은 큼직한 것 위주로 적어보았다. 

 

먼저 1월은 식재료 구입이 많은 달이었다. 코스트코에 무려 3번이나 장 보러 갔으며, 외식 5번, 토마토 5kg 등 본격적으로 이너뷰티를 실행하기 위해 드는 비용이 많았다. 하지만 후회 없는 소비였고, 다른 날보다 외식도 많은 편이었지만 연초라 어쩔 수 없는 듯. 

 

문화생활비는 가끔 체험단을 위해 선결제하는 상품권 금액이 포함. 우선 요번달에 환급받는 금액은 하단 '1/N'에 녹였다. 개인적으로 이겨내보려했던 피부 이슈! 여드름에게 굴복해 병원을 다녀왔다. 두 달간 약 복용 경과를 지켜보며, 산부인과도 갈 예정이다.

 

이번 달 제일 많은 지출은 바로 경조사회비, 선물이다. 친구 생일과 명절선물, 엄마 선물로 인해 배보다 배꼽이 큰 격. 다른 건 재쳐두고, 일시불로 결제한 선물 비용은 11개월 나누면 달마다 98,800원 정도로 염두에 두어야 한다!

 

지난번 포스팅했던 서울사랑상품권 구매 외, 새해를 맞이해 새로운 식물 친구를 들여왔다. 다음은 소비성 지출에 이중으로 포함된 금액을 제외해 보았다. 총 제외 금액은 735,059원으로 실질적인 1월 총지출 비용은 2,061,028원이다.

 

  • 카드값 441,186원
  • 1/N 272,673원
  • 지역화폐 21,200원

 

1월 가계부 결산
총 지출 2,796,087원
고정 지출 189,610원
소비성 지출 2,606,477원
제외 금액 735,059원

 

 

2월 소비 계획

  • 개인 핸드폰 비용 지출 예정
  • 인터넷 요금 두 번 납부 예정 (1월 미지출)
  • 98,800원(1월 소비금액)
  • 경조사회비 2번 지출 예정
  • 카페 & 간식 지출 자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