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1인가계부4

2025년 2월 가계부 결산, 1인가구 소비내역 2월 수입2월 급여앱테크 6,811원체험단 187,800원2월 금융소득은 없다. 케이뱅크 캐시백 쿠폰 3천 원 환급과 앱테크로 받은 6천 원 정도가 전부. 쓰고 있는 3월에 체험단으로 아낀 금액이 많아, 이번 달부터 체험단으로 다닌 금액도 환산해보려고 한다. 주로 평일 저녁, 주말 외식은 체험단으로 먹으려 노력 중인데, 2월 다닌 금액을 환산해 보니 187,800원이었다. 먹고 싶은 게 있으면 적극적으로 신청하는 게 좋은 듯.  저축성 & 고정 지출청년도약계좌 70만원 입금고정 지출 180,933원가스비 요금을 기록한 포스팅이 무색하게 올해부터는 조금 따뜻하게 틀어봤다. 실내온도 19~20도로 맞춰 틀었더니, 나온 가스 요금은 총 38,080원. 1월은 설날연휴가 길어서 얼마 나오지 않은 듯, 나름 선방.. 2025. 3. 21.
2025년 1월 가계부 결산, 1인가구 소비내역 1월 수입12월 급여 + 1월 상여부수입 1,427,024원올해 처음으로 계산해 보는 부수입에는 만기 된 적금 2개, 지난번 포스팅하고 구입한 서울사랑상품권 인센티브, 체험단, 앱테크 등 계좌로 현금화되어 들어온 수입을 합해보았다. 가끔 하는 앱테크로 모으는 금액은 항상 궁금했었는데, 간단한 방법치고는 7천 원을 받아 꽤 쏠쏠한 듯! 이벤트성이 있어 계속 지속될지 지켜볼 계획이다.    저축성 & 고정 지출청년도약계좌 700,000원 입금고정지출 189,610원 고정지출에서 지난달 관리비까지 두 번 납부했고, 인터넷 요금 납부 방법을 바꾸려고 자동이체 취소해서 2월에 납부했다. 흑흑.. 계속 밀리는 인생. 작년 고정지출비용 평균을 보아하니 15만 원 정도 나갔다. 1월 고정지출비용은 많이 나온 듯.  소.. 2025. 2. 3.
2023 1분기 결산 일단 반성반성 80%는 1분기 내내 채우지 못했고, 4~5월은 심지어 급. 격. 히 상승했다. 역시 가계부를 자주 안볼수록, 생각 없이 쓰는 소비가 많음을 깨닫는다. 작년에는 소비할때마다 가계부를 작성하기 바빴는데, 이제는 월말이나 월초에 늦장부리다가 작성하고, 재미를 잃었다ㅠㅠ 그렇다고 딱히 하는 일도 없으면서 시간을 어디다 흩뿌리고 다니는 건지 아쉽다. 1월2월3월총 지출2,208,583원1,517,006원1,167,075- 카드값937,783원1,114,966원561,605원- 반환541,483원496,698원424,305원생활비106,950원220,938원146,820원 엑셀로 먼저 작성하고 간략히 표로만 옮겨놨는데, 알아보기 쉽지 않다. 올해가 끝나서 12월을 한꺼번에 올려야 알아볼까 말까? 어.. 2023. 5. 31.
2022 10월 월말 가계부 결산 9월 말에 다 계산해놓고,, 어느새 11월이 돼서야 적는다. 정말 11월은 어느 때보다 게으르게 살았다ㅠㅠ 한숨,, 늦었지만 일단 기록해본다. 10월 가장 많이 지출한 주는? 월급을 받은 10월 첫째 주다. 10월 첫째주부터 셋째 주까지 지속적으로 쓰는 게 눈에 띈다!ㅋㅋ 아마, 11월은 좀 더 다른 모양새일 것 같다. 일단 신용카드 → 체크카드 2개로 나눠서 쓰기 시작했다. 11월 연말 결산해봐야 어떻게 사용할지 확실해질 것 같다. 그리고 연말에 그동안 소비패턴 좀 보려고 했건만.. 7~8월 정리해놓은 엑셀 파일이 사라졌다ㅠㅠ 노트북 다시 뒤져봐야지. 10월 가계부 통계 일단 9월에 적은 데로 010 pay를 교통카드로 적극 활용했다. 하지만 010 pay에 찍히는 금액과 청구일, 통지서에 날아오는 청.. 2022. 11.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