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카드 사용내역을 살펴보자
- 교통비 지출 정리
- 나에게 맞는 알뜰교통카드는 무엇일까
-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 알뜰교통 마일리지 홈페이지
카드 사용내역을 살펴보자
교통카드로 너무 잘 쓰고 있던 010pay체크카드가 시즌3을 맞이하며, 대중교통 캐시백이 사라졌다.ㅠㅠ 그래서 사방팔방으로 새로운 교통카드를 찾기에 앞서, 현재 소비 내역을 알아봤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신용카드는 카카오뱅크 신한카드, 코스트코 리워드 현대카드 두 개로, 신한카드는 작년 3월부터, 현대카드는 11월부터 사용했다.
신한카드는 통신요금을 분할결제로 납부하면서 나름 쏠쏠한 혜택을 얻었는데, 대중교통은 캐시백에 해당 안된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현대카드는 이미 신한카드를 잘 사용하고 있는터라, 사용처가 많지 않았다. 그렇다면 왜 만들었냐?? 코스트코에서 큰 금액을 사용할 일이 생기면서 연회비를 내더라도, 코스트코 리워드 포인트를 받는게 이득이어서 만들었다.
하지만 치명적인 계산 실수가 있었다.ㅠㅠ 작년 11월 말에 결제하면서, 납부일을 5일로 설정하는 바람에 실제 납부일은 해를 넘겨 2023년 1월이 되었고, 코스트코 리워드 포인트는 매년 12월에 바우처로 자동교환되는데, 납부일이 해를 넘겨서 그런지? 작년에 교환되지 않고, 올해 12월에 교환되었다;; 이 무슨?!!ㅋㅋ
이게 결제일 기준인지 납부일 기준인지는 다시 고객센터에 정확히 물어봐야겠지만, 저번에 코스트코 방문시, 물어봤을 때는 이게 맞다는 식으로 얼렁뚱땅 답변을 받았기에 대략 납부일 기준이겠거니 추측 중이다.
게다가 신용카드는 납부일이 아니라 결제일 기준으로 연말정산된다는 점도 몰라서 뜻대로 되지 않았다. 그래서 현대카드 사용은 매우 만족스럽지 않았다. X!!!
그런데 살펴보니 대중교통도 1% 리워드가 된다길래, 요번달에 차선책으로 사용중에있다.
카카오뱅크 신한카드 | 코스트코 리워드 현대카드 | |
연회비 | 1만 5천원 | 1만원 |
받은 캐시백 | 월 평균 1 만원 | 35,481 (12월 예정) |
대중교통 적립 유무 | X | O |
작년과 현재 바뀐 소비패턴 덕에 신한카드로는 최소 월 2천 원만 적립받을 수 있을 것 같다. 한 해 동안 캐시백 받은 금액은 추후에 포스팅으로 작성 예정이다.
교통비 지출 정리
회사를 다니면서 주기적으로 나가는 교통비가 생겼다. 카풀로 인해 고정지출로 나가는 주유비는 5만 + α이다. 주유비는 따로 계산은 안 해봤는데, 해봐야겠다!!
작년 한 해 동안 사용한 교통비는 289,060원. 3월은 체크카드와 신용카드를 아무리 뒤져도 나오지 않았는데, 아마 이벤트로 받은 캐시비카드를 이용해, 한 번 밖에 사용하지 않아 없는 것 같다. 어쨌든 한 달 평균 사용 금액은 24,088원으로 3월의 특이한 케이스가 아니면 3만 원 정도로 잡으면 될 것 같다.
2022년 | 2023년 | 직전 3달 | |
합계 | 289,060원 | 66,150원 | 95,700원 |
평균 | 24,088원 | 22,050원 | 31,900원 |
그래서 교통비는 총 8만 원 언저리인데, 주유비와 대중교통비용이 나눠져있다 보니 같이 혜택 받기가 참 애매하고 ㅠㅠ 더 이상의 신용카드를 만들고 싶지 않기 때문에!! 체크카드 위주로 알아보고 있다.
나에게 맞는 알뜰교통카드는 무엇일까
위와 같은 현 상황으로 인해, 알뜰교통카드 중 체크카드를 우선 알아봤다. 후불 체크카드로는 우리카드(COOKIE CHECK), 알뜰교통 신한카드 S20, 하나카드 (체크) 3가지가 있다.
체크카드라 그런지 여러 가지 조건이 붙어있어서 더 상세히 봐야 된다. 주의 깊게 살펴볼 점은 이용금액, 전원실적, 최대 캐시백 조건이다.
3가지 체크카드 모두 일정금액의 전월실적이 채워져야 캐시백 받을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혜택으로만 표를 정리해봤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첨부된 알뜰교통 마일리지 홈페이지를 통해 알아봐주세요.
먼저 대중교통을 살펴보면, 우리카드와 하나카드는 대중교통 최소 이용금액이 정해져 있다. 평균 월 3만 원 정도 사용하는 나로서는 합산 이용 금액 5만 원 이상시 3천 원 캐시백 혜택을 주는 우리카드는 필요 없다.ㅠㅠ
그렇다면 신한카드와 하나카드인데, 사용할 수 있는 혜택으로만 표로 정리해봤다. 신한카드에 유일하게 이동통신 혜택이 있는데 건 당 5만원 이상인 경우라 역시 해당되지 않고, 나머지 편의점이나 커피·서점에서 이용시 혜택을 누릴 수 있는데, 매월 마다 편의점과 커피숍을 이용할지 의문이다.
- 대중교통 최대 2천원
- 스타벅스/커피빈 최대 2천원
남은 하나카드는 대중교통이 건 당 3만원 이상 사용시 최소 4천 5백원 혜택을 받을 수 있고, 기타 쇼핑 2만원당 200원씩 적립되는 혜택이 있다. 쇼핑이 건당 2만원 이상이라니~~ 머리 아프다. 대중교통 캐시백 혜택만 보면 알맞은 카드 같은데, 전월 실적이 25만원 이상이 되어야 한다.
- 대중교통 최대 5천원
우리카드 | 신한카드 | 하나카드 | |
대중교통 | 버스, 지하철 합산 이용 금액 5만원 이상 시 3천원 캐시백 | 지하철/버스/택시 이용 시 10% 캐시백 서비스 제공 최대 2천원 |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15% 월 3만원 이상 이용 시 최대 5천원 |
전월실적 | 20만원 이상 - 50만원 미만 8천원 |
20만원 이상 - 30만원 미만 5천원 |
25만원 이상 |
이동통신 | - | 자동이체 시 비교통카드 월 3천원, 교통카드 월 2천원 각각 캐시백 제공 ※ 승인금액 건당 5만원 이상인 경우 할인 적용 |
- |
편의점 | CU, GS25, 세븐일레븐, 올리브영, 군마트(PXㆍWA마트) 건당 1만원 이상 결제 시 1천원 캐시백 | GS25 편의점 이용 시 2% 캐시백 서비스 제공 ※ 승인금액 건 당 1만원 이상인 경우 캐시백 적용 ※ 승인금액 건 당 2만원까지 캐시백 적용 |
- |
기타 | - 스타벅스(사이렌오더 포함) 건당 1만원 이상 결제 시 2천원 캐시백 통합 월 4회 제공 -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PAYCO 건당 1만원 이상 결제 시 1천원 추가 캐시백 통합 월 2회 제공 ※ 3대 간편결제에 본 카드를 등록하여 사용한 경우에만 제공 |
- 스타벅스/커피빈 20% 캐시백 1일 1회, 월 3회 제공, 월 최대 3천원 캐시백 적용 ※ 승인금액 건 당 1만원 이하까지 캐시백 적용(최대 2,000원 캐시백) - 교보문고/반디앤루니스 5% 캐시백 1일 1회, 월 3회 제공, 월 최대 3천원 캐시백 ※ 승인금액 건 당 2만원 이상인 경우 캐시백 적용 |
- 국내 온라인 쇼핑 2만원당 200원 최대 5천원 ※ 캐시백 한도 : 월 1만원(사용금액 취소 시 캐시백 된 금액 제외 후 환불) |
이외에 주의할 점은 ※커피숍 이용 시에는 충전카드(선불형) / 상품권 구매는 할인대상에서 제외되고, 하나카드의 경우 ※국세, 지방세, 공과금, 상품권, 선불카드 충전, 기프트 카드 구매, 아이 행복 정부지원금, 도시가스/대중교통 이용 요금은 전월 사용금액 합산 금액에서 제외된다.
그리고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로 우리카드 (COOKIE CHECK) 신규 발급 고객은 최초 발급 후, 해당 카드로 2023년 4월 30일까지 국내외 가맹점 10만원 이상 이용 시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Tall 모바일쿠폰 4매 제공되고 있다.
알뜰교통 마일리지 적립과 신용카드 연회비와 캐시백을 따져봐서, 알뜰교통 신한카드 S20, 하나카드 (체크) 중 하나 발급 받거나, 체크카도 사용 후 마일리지 적립되는 비율을 보고 추후 신용카드로 발급받을 생각이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 월 15회 이상 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 이용 및 주민등록상 주소지 확인되어야 마일리지 지급됩니다.
(단, 주민등록상 주소지 정상인 경우, 알뜰교통카드 앱 가입 첫 달은 대중교통 이용횟수 무관)
- 알뜰교통카드 앱 회원가입 가능지역: 서울, 인천, 경기,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세종, 울산, 제주 , 충북(청주, 옥천, 제천, 충주) , 충남 , 전북(전주, 완주, 익산, 남원, 군산, 정읍) , 전남(무안, 순천, 신안, 목포, 여수, 해남, 광양, 나주, 담양) , 경북(포항, 경주, 영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 칠곡 / 경산, 안동) , 경남 , 강원(춘천, 강릉, 원주) - [후불카드] 신한카드/우리카드/하나카드
- 카드사에서 발급받은 플라스틱 카드를 이용해야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 회당 마일리지 적립액(보행·자전거 최대 800m 이동시, 월상한 44회)
* 800m미만은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지급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지급, 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시 두배 지급
- 해당 지역 주민들께서는 알뜰교통카드를 신청하시어 대중교통비 최대 30% 절감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교통요금 지출액 | 2천원 미만 | 2천원 이상 ~ 3천원 미만 | 3천원 이상 |
마일리지 지급액 | 최대 250원 | 최대 350원 | 최대 450원 |
- 청년층 마일리지 상향 지원
- 대상: 기본 마일리지 적립대상자 중 만 19세 ~ 34세
구분 | 1회 교통비 | 비고 | ||
2천원 미만 | 2천원 이상 ~ 3천원 미만 | 3천원 이상 | ||
23년 1월부터~ | 350원 | 500원 | 650원 | 이동거리 최대 800m기준 |
- 마일리지 적립 방식
- 출발지에서 대중교통 승차지점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통해 이동한 거리 측정
- 대중교통 하차지점에서 도착지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통해 이동한 거리 측정
- 카드사(신용카드 및 티머니)로부터 대중교통 이용정보 수신
-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알뜰교통카드 앱 출발/도착정보 일치여부 확인
- 정보 확인된 경우,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 적립
- 신한카드 / 우리카드 / 하나카드 이용시
알뜰교통카드 앱 및 알뜰교통카드(신용·체크카드) 모두 사용해야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알뜰교통 마일리지 홈페이지
알뜰교통카드
출근은 편하게 ! 교통비는 가볍게!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로 더 알뜰하게 !
www.alcard.kr
'머니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페이머니체크 카드 이벤트 3천P + CGV 할인, 예약 충전 설정방법 (1) | 2023.12.25 |
---|---|
2023년 6월 월말 가계부 결산 & 남은 올해 목표!!!!아아아악!!! (2) | 2023.07.14 |
2023 1분기 결산 (0) | 2023.05.31 |
카카오뱅크 신한카드 1년간 캐시백 받은 금액, 추천 대상 (0) | 2023.03.20 |
IBK 기업은행 급여라운지 EVENT로 100% 웰컴기프트 챙기자 (0) | 2023.02.24 |
010PAY 체크카드 시즌3 응DAY 최대 적립 금액 이용팁 (0) | 2023.02.08 |
고민 끝에 개설한 신협 23개월, 예금 5.6%과 자유적금 5.41% (0) | 2023.02.06 |
010PAY 체크카드 시즌2, 응카데이 월1만원 혜택받자 (1) | 2023.01.09 |